비즈니스북스

전체도서

전체도서 상세

티핑 포인트의 설계자들

티핑 포인트의 설계자들

빅 트렌드의 법칙과 소셜 엔지니어링의 비밀

지은이
말콤 글래드웰
옮긴이
김태훈
발행일
2025-02-25
사 양
404쪽   |   152*225 mm
ISBN
979-11-6254-411-2 03320
상 태
정상
정 가
20,000

도서구매 사이트

구매를 원하시는 서점을 선택해 주세요.

  • Yes24
  • 교보문고
  • 알라딘
디지털 시대, 대중의 행동을 지배하는 
빅 트렌드의 메커니즘을 파헤치다!

★ ★ ★

출간 즉시 뉴욕타임스, USA 투데이, 아마존 종합 베스트셀러!
전 세계 1,000만 부가 판매된 《티핑 포인트》의 후속작!

‘티핑 포인트’가 자신의 묘비에 새겨질 문구라고 생각했던 말콤 글래드웰

왜 25년 만에 다시 ‘티핑 포인트’에 대해 썼는가?


20세기 최고의 논픽션 《티핑 포인트》가 돌아오다!

작은 불씨가 들불로 일어나는 전염의 순간을 직접 목격하라!

 

2000년 출간된 말콤 글래드웰의 《티핑 포인트》는 우리의 세계를 구성하는 행동과 믿음의 급격한 변화 지점을 이해하는 놀라운 책이었다. 어떤 현상이 순식간에 폭발하는 지점 ‘티핑 포인트’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인지, 고착성의 법칙, 소수의 법칙, 상황의 힘과 같은 행동경제학적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다양한 사례와 그만의 스토리텔링으로 설명하는 놀라운 책이었고, 그 책이 다루고 있는 주제처럼 대유행하며 번져나갔다. 《티핑 포인트》는 여러 해 동안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다. 빌 클린턴은 《티핑 포인트》를 “다들 이야기하는 그 책”이라 일컬었다. ‘티핑 포인트’는 일상 용어가 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1천만 부 이상이 팔린 명작이 되었다. 

 

코로나19가 세상을 휩쓴 어느 날 말콤 글래드웰은 그동안 바빠서 다시 들춰보지 못했던, 장장 25년 된 《티핑 포인트》를 다시 읽게 된다. 팬데믹으로 우울하고 비관적인 현 시점에 자신의 예전 걸작을 다시 본 말콤 글래드웰은 새로운 통찰을 얻게 된다. 

저자는 《티핑 포인트》가 전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된 이유에는 이 책이 당시 희망찬 시대의 분위기에 맞는 희망찬 책이었기 때문일 것이다고 추측한다. 당시는 새로운 밀레니엄이 도래한 때였다. 범죄와 사회문제는 급감했다. 냉전은 끝났다. 말콤 글래드웰은 책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것은 부제가 말하는 대로 작은 것들이 큰 차이를 만드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하지만 25년이 지난 후, 세상은 또 달라졌고, 그의 생각도 달라졌다. 

그래서 이 통찰을 단순히 《티핑 포인트 25주년 기념판》이 아닌, 현 시점에 맞추어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틀어서 탐구해보기로 마음먹었고, 처음부터 이 책을 다시 써내려가기 시작했다. 그는 은행 강도, 보험 사기꾼, 치타, 하버드 여자 럭비 선수, 코로나19 확산자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되새기며 ‘티핑 포인트’라는 원래 아이디어에 새로운 이론을 추가한다. 기존 세 가지 대유행의 법칙에 3가지를 추가했는데 ‘오버스토리(사람들의 행동 방식을 지배하는 공동체의 가치)’, ‘슈퍼전파자(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사람)’, 그리고 ‘매직 서드(전체 집단의 문화나 생각을 바꾸는 비율)’다. 티핑이 되는 과정을 정교하게 설계해서 실행하도록 이끄는 ‘엔지니어’들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1990년대 로스앤젤레스에서 은행 강도가 만연했던 것은 단지 몇몇 사람들이 슈퍼 전파자처럼 은행을 계속 털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는 곳은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왜 일리노이는 인디애나에 비해 오피오이드(마약성 진통제) 남용률이 낮을까? 

 

글래드웰은 관습과 관행의 확산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다듬고 심화시킨다. 홀로코스트라는 단어가 어떻게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지, 동성 결혼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그리고 광범위한 소셜 엔지니어링이 어떻게 ‘미국의 기득권의 핵심 활동 중 하나가 되었는지’ 등 사회의 깊은 부분까지 들여다본다. 

25년 전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티핑 포인트’를 주제로 해 책을 내고 ‘사회적 유행’에 대한 새로운 탐구로서 말콤 글래드웰이 그만의 탁월한 스토리텔링으로 알려주는 새로운 빅 트렌드의 법칙, 그리고 세상을 바꾸는 ‘트렌드 설계자’의 등장이 독자들을 전율케 할 것이다.

 

 


 

 

저자 |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 

 

미국에서 활동 중인 저널리스트이자 작가, 강연가. 

영국에서 태어났으나 6세 때 캐나다로 이주한 후 온타리오주에서 성장했고 현재 국적은 캐나다이다. 아버지는 수학 교수, 어머니는 심리치료사였다. 토론토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그는 1984년 미국으로 건너와 저널리즘계에 뛰어들었다. 명료하면서도 비범한 필력, 차별화된 이슈를 고르는 탁월한 감각으로 《워싱턴 포스트》에 입성한 후 1996년에는 ‘문학적 저널리즘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더 뉴요커》로 자리를 옮겨 활동했다.

《더 뉴요커》에서 그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세상의 다양한 패턴과 행동 양식, 심리적 아이디어로 가득 찬 기사들을 썼다. 이 기사들은 훗날 그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20세기 나아가 21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저널리스트의 반열에 오르게 했다.

 

그가 처음으로 큰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경제학자 토머스 셸링(Thomas Schelling)이 제시한 개념인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에 대한 기사에서였다. 이 기사는 당시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현상이었던 ‘사회적 유행’에 대한 새로운 탐구였다. 2000년 그는 이를 주제로 《티핑 포인트》를 출간했고, 이 책은 28주 연속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를 기록했다. 그의 첫 책은 미국에서만 20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며, 전세계적으로 누적 1,000만 부를 돌파했다. 

그 후 말콤 글래드웰은 《티핑 포인트》, 《블링크》, 《아웃라이어》 등 7권의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를 잇달아 출간했다. 하지만 그는 그중에서 ‘나중에 내 비석에 새겨질 글귀는 《티핑 포인트》일 것’이라며 첫 책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냈다. 

 

코로나19가 창궐하던 어느 날 말콤 글래드웰은 폭발적 감염의 시대에 《티핑 포인트》를 다시 꺼내 읽게 되었다. 그는 자신도 모르게 “이건 왜 이렇게 썼지? 나는 왜 그걸 빠트렸을까?”라고 자문했다. 평소 25주년 개정판을 쓰라는 권유를 받고 있던 그는 25년 전과 달라진 디지털 시대라는 상황과 새롭게 추가된 빅 트렌드의 법칙, 소셜 엔지니어링의 등장 등을 다루며 이 책을 완전히 새롭게 집필했다!

 

그는 현재 <리비저니스트 히스토리>를 비롯한 팟캐스트와 오디오북 제작 콘텐츠 기업인 푸시킨 인더스트리스의 공동 창업자로 일하고 있으며 뉴욕시 외곽에서 가족과 비기 스몰스라는 고양이와 함께 산다. 

 

역자 | 김태훈 

 

전문 번역가로서 인문교양, 경제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번역한다. 옮긴 책으로 《가난한 찰리의 연감》,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최선의 고통》, 《사고의 본질》 외 다수가 있다. 

 

저자의 말_나의 첫 책을 백지에 다시 쓴 이유

머리글_ 티핑 포인트가 우리의 뒤통수를 칠 때

 

제1부 세 가지 수수께끼

제1장 캐스퍼와 C-도그 

양키 모자를 쓴 남자 

LA는 어쩌다 은행 강도의 수도가 되었나

양키부터 캐스퍼까지, 은행털이 ‘사업’의 발전

같은 범죄, 다른 장소, 다른 결과 

지역에 따라 의사들의 성향이 다른 이유

발도르프 학생들은 왜 백신을 맞지 않았나

 

제2장 마이애미의 문제 

사기 범죄자의 눈물 

마이애미에는 있고 시카고에는 없는 것

발도르프 학교와 버팔로

주 심장 전문의들에게 생긴 일

메디케어가 사기꾼들의 노다지판이 된 까닭 

1980년이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 

안과 밖이 다른 수상한 오피스 빌딩

펜을 막 굴리는 의사와 사기꾼들의 합작

 

제3장 포플러 그로브 

완벽해 보이는 동네의 비밀

공동체 의식 혹은 공동체의 압박

치타의 개체 수 감소와 모노컬처 

다르게 될 수 없는 곳이 만든 비극 

단 두 마리에서 시작된 집단 폐사 사건 

완벽해 보였던 그들은 왜 목숨을 끊었나 

그들을 죽음으로 내몬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제2부 사회공학자들

제4장 매직 서드 

규칙이 있는 거리

백인 탈주 사태

홍일점들은 왜 인정받지 못했나

‘3분의 1’ 마법 

마법은 4분의 1과 3분의 1 사이 어딘가에 존재한다

인위적 조정과 역차별의 딜레마 

 

제5장 하버드 여자 럭비팀의 미스터리 

왜 하버드는 여자 럭비팀을 만들었을까 

‘선택받은’ 학생들만 들어갈 수 있는 곳  

아주 뛰어난 테니스 선수의 진짜 특별한 점 

그들이 말하는 ‘평등한 기회’는 정말 평등할까

 

제6장 미스터 인덱스와 메리어트 집단 감염 사태 

공포의 워크숍 

30만 명을 감염시킨 한 사람

소수의 법칙이 ‘소수의 탓’으로 작용할 때 

전 세계인이 마스크를 쓰게 된 과정 

전염병은 극소수의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슈퍼전파자를 특정하면 벌어지는 일

그날, 그때, 그곳에 미스터 인덱스가 있었다

 

제3부 오버스토리

제7장 LA 생존자 모임 

순교자 기념 박물관의 탄생 

아무도 말하지 않고, 아무도 알지 못했던 사건 

모든 것을 바꾼 한 편의 미니시리즈 

공통의 경험은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가 

차마 말하지 못했던 사람들 

오버스토리를 변화시키는 데는 많은 사람이 필요하지 않다 

고유명사가 된 홀로코스트

 

제8장 메이플 드라이브에서의 감옥 생활

혁명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시점에 찾아온다

그들은 왜 목전의 승리를 보지 못했을까 

‘게이 내러티브’에 담긴 세 가지 규칙

오버스토리의 규칙을 깨트리다 

시간의 무게가 만들어낸 극적인 변화

 

제4부 결론

제9장 오버스토리, 슈퍼전파자 그리고 집단 비율

‘진통제’ 옥시콘틴의 등장

미국이 유독 오피오이드에 취약했던 이유 

단 두 장의 사본이 만들어낸 오버스토리

자연이 준 선물인가 중독성 강한 마약인가

그들은 왜 3겹 처방전 규정이 없는 주를 노렸나

처방 건수에서 발견된 80/20 법칙

집단 비율을 바꾼 최악의 결정

우리는 과연 전염에 아무런 책임이 없는가

 

감사의 말 

주석

 

상단으로 이동